숫자형과연산자
숫자형
숫자형 | 사용가능한 숫자 |
정수 | 1, 2, -1, 0, 123214등 |
실수 | 13.124, -1.124, 1.234e20등 |
복소수 | 1 + 2j, -5j등 |
8진수 | 0o14, 0o17등 |
16진수 | 0x2B, 0xCC등 |
정수형
a=123
b=-314
c=0
등이런식으로 사용합니다.
예제↓
위와같이 선언할수있습니다.
실수형
a=5.3
b=-10.8
등으로 사용가능합니다.
예제↓
8진수
표기는 0o8진수로 표기합니다.
나아갈進셀數로 10진수는 10이되면 나아간다는뜻으로 11이됩니다.
10진수:1 2 3 4 5 6 7 8 9 10
8진수:1 2 3 4 5 6 7 10 11 12
예제↓
위와같이 선언할수 있습니다.
16진수
표기는 0x16진수로 표기합니다.
10진수:1 2 3 4 5 6 7 8 9 10
16진수: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예제↓
복소수란?
원래 수학에서는 i로 표기하며 제곱했을 때에 -1이 되는 수 입니다. (루트 -1과 같다.)
원래의 식은 1 + 3i같이 되며 1은 실수부분 3i는 허수부분이 됩니다.
그리고 허수부분의 부호가 반대가되면 그것이 켤레복소수가 됩니다.(위의 1 + 3i의 켤레복소수는 1- 3i인 것입니다.)
만약 곱셈공식 a²-b²=(a+b)(a-b)를 적용시켜보면 1 + 3i의 켤레복소수와 곱하는 것이 되고 1²-3²*(-1) = 1 - 9가됩니다.
복소수의 활용예
ⓐ : 복소수.real=복소수의 실수부분을 리턴합니다.
ⓑ : 복소수.imag=복소수의 허수부분을 반환합니다.
ⓒ : 복소수.conjugate()=복소수의 켤레복소수를 반환합니다.
※켤레복소수란? : 허수부분의 부호를 반대로 바꾼것
기타 활용예
⒜ : abs(숫자혹은변수)=숫자혹은 변수의값의 절대값을 반환합니다.
사칙연산
산술 연산자 | 사용법 | 의미 |
+ | a+b | 두수를 더한다 |
- | a-b | 두수를 뺸다. |
* | a*b | 두수를 곱한다 |
/ | a/b | 두수를 나눈다 |
% | a%b | 두수의 나머지를 구한다. |
** | x ** y | x의y제곱을 나타낸다. |
// | 7 // 4 | 나누는데 소수점아랫자리를 버린다. |
위와같이 되어있습니다.
예제↓
여기까지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숫자형과연산자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