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렬과 공백
1 | "%10shello" % 'hi' | cs |
이렇게 쓰시면
|
|
|
|
|
|
|
| h | i |
이렇게 공백으로 오른쪽 8칸띄우고 hi를 출력하라는뜻이 됩니다.
※-는 왼쪽으로hi를 붙이게됩니다.
소수점 표현
1 | "%0.5f" % 3.141592 | cs |
이렇게 하시면 소수점5째자리까지 출력하라는 뜻이됩니다.
1 | "%10.5f" % 3.141592 | cs |
위에것과 합친예↑
문자열관련 함수
함수 | 사용법 | 의미 |
count | a.count('b') | 왼쪽의경우 a에b가있는 개수를 리턴합니다. |
find | a.find('b') | 왼쪽의경우 a에서b가 처음나 오는 위치를 인덱스값으로 리턴합니다.(없으면 -1리턴) |
index | a.index('b') | 위와설명은같다. 다른한가지 없으면 오류를 발생시킨다. |
join | a.join('abcd') | 왼쪽의경우 abcd사이에 a를삽입한다. a가,라면 a,b,c,d가된다. |
upper | a.upper() | 왼쪽의경우 a에있는 문자열을 대문자로 바꾼다. |
lower | a.lower() | 왼쪽의경우 a에있는 문자열을 소문자로 바꾼다. |
lstrip | a.lstrip() | 왼쪽의경우 a의왼쪽 공백을 지운다. |
rstrip | a.rstrip() | 왼쪽의경우 a의오른쪽 공백을 지운다. |
strip | a.strip() | 왼쪽의경우 a의 양쪽 공백을 지운다. |
replace | a.replace("aaa", "bbb") | 왼쪽의경우 a의문자열의 aaa를 bbb로바꾼다. |
split | a.split() | 왼쪽의경우 a를 공백기준으로 나눕니다.(괄호안에 값을넣으면 그값을기준으로 나눈다.) |
문자열 포매팅
format함수를 이용하여 합니다.
함수 | 사용법 | 의미 |
format | "{0}".format("python") | 왼쪽의경우 {0}을 python으로 채워넣는다. |
2개이상의 값넣기
1 | "{0} {1}".format("programming", "python") | cs |
이렇게 표현할수있습니다.
※{}안에 들어가는값은 왼쪽으로부터 1씩늘어나도록 쓸수있습니다.
이름으로넣기
1 | "{number}".format(number=10) | c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