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30일 부산 동명대학교에서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시험을 쳤다
아무래도 공겹 가산점 항목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몇몇 보여서 따놓고 맘편한게 좋겠다 싶던 상황
필기는 9월 7일날 쳤고 이기적 빅분기 필기 책으로 공부후에 군대 후임한테 줬다..
이건 나름대로 괜찮게 나왔었고 이때 군대에서 시험외출로 나가서 보고왔었다.
그리고 24.11.30에 쳤던 빅분기 실기 결과는
1유형은 1개 맞춰서 10점 받고
3유형은 4개 맞춰서 20점 받고
2유형은 스케일링해서 오히려 f1score값이 조금 낮았었는데 딱 그대로 반영되어서 점수가 나온것 같다.
어떻게 하던 붙으면 장땡 아닐까
공부했던 방식)
공부는 어떤걸로 할지 고민하다가 실기인데 책으로 하기 애매할것 같아
그리 비싸지 않은인프런의 '퇴근후딴짓'분 강의를 선택했다.
여기서 기초적인거나 추가적으로 필요할만한 것까지 알려줬는데 비전공자라 그냥 최대한 열심히 했던거 같고,
기출 같은 경우 여러번 돌려보고 계속 익숙해지려고 노력했던거 같다.
아무래도 코딩해서 제출하는 시험인데 군대 특성상 코딩하기는 좀 쉽지 않고
코드 자체를 싸지방에서 한글로 출력해서 야간근무 중에 계속 돌려봤던거 같다.
그리고 마지막쯤 휴가 3일은 키보드로 하는 코딩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생각에 계속 키보드만 붙들고 연습했던 기억이 있다.
먼저 작업형1)
예전에는 쉬웠는데 점점 어려워지는 추세인거 같다.
데이터셋을 주면 그걸 이리저리 변환해서 특정 답을 도출해내는 방식의 문제이고
변화가 눈에 보여서 그만큼 많이 연습해가야할 것 같다.
작업형2)
먼저 평가지표 확인하고 회귀인지 분류인지 구분
이상치, 결측치 확인후 조정
target컬럼 빼놓은 뒤
수치형 스케일링(MinMax, Robust, Standard)
범주형 변수 인코딩(레이블인코딩, 원핫인코딩)
모델은 RandomForest하고 LightGBM 익혀갔다.
그리고 평가 지표로 점수 내서 비교해보고 가장 잘 나온걸로 가져가는게 좋지 않을까,,
모델 점수가 괜찮으면 40점, 다른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으면 30점 그 마저도 안된다면 20점 아님 바로 0점이다.
나는 수치형 스케일링하고 점수 낮아졌는데 그대로 냈다가 실제 결과점수가 낮았다..
점수 폭이 극단적이라서 2유형은 무조건 제대로 숙지해가야한다.
작업형3)
아직 바뀐지 얼마 되지 않아서 기출이 제대로 없는 통계 분석 문제가 많다.
여기도 코딩해서 답을 내고 그 답이 아니면 틀리는 형식이다.
개인적으로 회귀분석, 상관관계, 단순선형회귀, 다중선형회귀 먼저 진행하고
가설검정, 단일/대응/독립표본검정, 카이제곱검정, 적합도 검정, 독립성 검정까지 공부하는걸 추천하고
시간이 좀 남는다면 분산분석까지 하는게 좋을 것 같다.
후기)
그렇게 점수가 높진 않은데 나름대로 변명을 해보자면,,
이때 시험일자는 11월 30일이고 그전에 쳤던 정보통신기사 실기 시험이 11월 23일이어서
시험 텀이 1주일이었고,, 할 수 있을까 싶다가도 그냥 해보자해서 시작하게 됐다.
그렇게 시작한 공부는 9월 한달간은 빅데이터 실기 공부를 하고, 10월 한달간은 정통기 실기 공부를 한 뒤
다시 남은 일주일동안 빅데이터 실기에 매진했었다.
이번에 휴가를 9일 나갔었는데
11월 21~24일 / 11월 27일~12월 1일
즉 21 22 23은 정통기에 쏟았고,, 24 27 28 29 30은 다음시험에 쏟은 셈
그냥 9일 휴가 중 8일을 스터디카페에서 보내고 마지막 하루는 누워서 쉬다 군복귀했다;;
여하튼 나름대로 열심히 했던거 같다.
'자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기사 2024년 4회 실기 응시후기 (5) | 2024.12.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