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렬과 공백

1
"%10shello" % 'hi'
cs


이렇게 쓰시면

 

 

 

 

 

 

 

 

 h

 i


이렇게 공백으로 오른쪽 8칸띄우고 hi를 출력하라는뜻이 됩니다.

※-는 왼쪽으로hi를 붙이게됩니다.


소수점 표현

1
"%0.5f" % 3.141592
cs


이렇게 하시면 소수점5째자리까지 출력하라는 뜻이됩니다.

1
"%10.5f" % 3.141592
cs

위에것과 합친예↑


문자열관련 함수

 함수

 사용법

의미 

 count

 a.count('b')

왼쪽의경우 a에b가있는 개수를 리턴합니다.

 find

 a.find('b')

왼쪽의경우 a에서b가 처음나 오는 위치를 인덱스값으로 리턴합니다.(없으면 -1리턴)

 index

 a.index('b')

위와설명은같다. 다른한가지 없으면 오류를 발생시킨다.

 join

 a.join('abcd')

왼쪽의경우 abcd사이에 a를삽입한다. a가,라면 a,b,c,d가된다.

 upper

 a.upper()

왼쪽의경우 a에있는 문자열을 대문자로 바꾼다.

 lower

 a.lower()

왼쪽의경우 a에있는 문자열을 소문자로 바꾼다.

 lstrip

 a.lstrip()

왼쪽의경우 a의왼쪽 공백을 지운다.

 rstrip

 a.rstrip()

왼쪽의경우 a의오른쪽 공백을 지운다.

 strip

 a.strip()

왼쪽의경우 a의 양쪽 공백을 지운다.

 replace

 a.replace("aaa", "bbb")

왼쪽의경우 a의문자열의 aaa를 bbb로바꾼다.

 split

 a.split()

왼쪽의경우 a를 공백기준으로 나눕니다.(괄호안에 값을넣으면 그값을기준으로 나눈다.)



문자열 포매팅

format함수를 이용하여 합니다.


 함수

 사용법

의미 

 format

 "{0}".format("python")

왼쪽의경우 {0}을 

python으로 채워넣는다.


2개이상의 값넣기

1
"{0} {1}".format("programming""python")
cs


이렇게 표현할수있습니다.

※{}안에 들어가는값은 왼쪽으로부터 1씩늘어나도록 쓸수있습니다.


이름으로넣기

1
"{number}".format(number=10)
cs


이렇게 할수있습니다.


정렬


 왼쪽

1
"{0:<10}".format("hi")
cs

 오른쪽

1
"{0:>10}".format("hi")
cs

 가운데

1
"{0:^10}".format("hi")
cs

 공백채우기

 "{0:특수문자<10}".format

("hi")


이렇게 쓸수있습니다.


소수점표현


밑과같이 쓸수있습니다.

1
2
= 3.141592
"{0:0.4f}".format(y)
cs
1
2
= 3.141592
"{0:10.4f}".format(y)
cs

'{', '}'를 표현하는 방법

1
"{{}}".format()
cs


이렇게쓸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블로그포그팅을 마치겠습니다.

문자열관련(2) -끝-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튜플자료형  (0) 2018.01.23
리스트자료형  (0) 2018.01.23
문자열관련(1)  (0) 2018.01.17
숫자형과연산자  (0) 2018.01.17
Python이란?  (0) 2018.01.17

표 관련 스타일


  • caption-side
이것은 저번 표에서배운 caption태그에 관해 제목을 어디 위치할지 정하는 것입니다.
속성값으로는 bottom 과 top이 있습니다.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caption_side{
            caption-side:bottom;
        }
   </style>
    <body>
        <table border="1" id="caption_side">
            <caption>html</caption>
            <tr>
                <th>1</th>
                <td>2</td>
            </tr>
        </table>
    </body>
</html>
cs


  • border
위에서 봤듯이 table옆에서 적으면 표의 굵기를 정하는 것이고 style안에 넣는다고 한다면 
border:(표의두께) (선의종류) (표의 색상)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table_style{
            border:2px solid red;
        }
   </style>
    <body>
        <table id="table_style">
            <caption>html</caption>
            <tr>
                <th>1</th>
                <td>2</td>
            </tr>
        </table>
    </body>
</html>
cs


  • border-collapse
이것은 표의테두리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처음 표를 크게 만들어보면 중간에 두줄로 분리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것을 분리할 것인지 아닌지 정하는 것입니다.
속성값으로는 collapse(분리안함)과 separate(기본값)이 있습니다.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border_collapse{
            border-collapse:collapse;
        }
   </style>
    <body>
        <table border="1" id="border_collapse">
            <caption>html</caption>
            <tr>
                <th>1</th>
                <td>2</td>
            </tr>
            <tr>
                <th>3</th>
                <td>4</td>
            </tr>
        </table>
    </body>
</html>
cs

  • border-spacing
보면 알수있듯이 표 하나하나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border-spacing:(가로간격) (세로간격);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border_spacing{
            border-spacing:10px 20px;
        }
   </style>
    <body>
        <table border="1" id="border_spacing">
            <caption>html</caption>
            <tr>
                <th>1</th>
                <td>2</td>
            </tr>
            <tr>
                <th>3</th>
                <td>4</td>
            </tr>
        </table>
    </body>
</html>
cs

  • empty-cells
빈셀을 어떻게 표시할지 정하는것입니다.
속성값은 show와hide가 있고 show는 기본값입니다.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empty_cells{
            empty-cells:hide;
        }
   </style>
    <body>
        <table border="1" id="empty_cells">
            <caption>html</caption>
            <tr>
                <th>1</th>
                <td>2</td>
                <td></td>
            </tr>
            <tr>
                <th>3</th>
                <td>4</td>
                <td></td>
            </tr>
        </table>
    </body>
</html>
cs


  • text-align
이것은 셀안의 텍스트를 수평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속성값은 left right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text_align{
            text-align:right;
        }
   </style>
    <body>
        <table border="1" id="text_align">
            <caption>html</caption>
            <tr>
                <th style="width:200px">1</th>
                <td>2</td>
            </tr>
            <tr>
                <th>3</th>
                <td>4</td>
            </tr>
        </table>
    </body>
</html>
cs


  • vertical-align
이것은 수직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속성값으로는 top bottom sup baseline등의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vertical_align{
            vertical-align:bottom;
        }
   </style>
    <body>
        <table border="1">
            <caption>html</caption>
            <tr>
                <th style="height:200px" id="vertical_align">1</th>
                <td>2</td>
            </tr>
            <tr>
                <th>3</th>
                <td>4</td>
            </tr>
        </table>
    </body>
</html>
cs


여기까지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선택자  (2) 2018.01.26
위치관련 속성  (0) 2018.01.16
마진과 패딩  (0) 2018.01.12
박스모델과 테두리 관련 스타일  (0) 2018.01.10
그라데이션 효과 만들기  (1) 2018.01.08

문자열 선언

1
2
3
4
= 'Hello'
= "Hello"
= '''Hello'''
= """Hello"""
cs

이렇게 4가지방법으로 선언할수있습니다.


문자열에 따옴표나 큰따옴표가 들어간다면?


Escape코드

 ​기능

\n

 줄바꿈 Enter의역할을 한다.

\r

 줄의 처음으로 간다.

 \b

 한문자 왼쪽으로간다.(Back space)

\t

 Tab만큼 띄운다.

 \a

 소리를 낸다.

 \(특수문자)

 특수문자 출력


보통 개인적으로 자주쓰는것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는\과같습니다.

이중 \', \"를 써서 씁니다.

1
= "\""
cs

이렇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여러줄을 변수에 대입하기

a="aa\nbb"

또는

a="""(''')

aa

bb

"""(''') 

이렇게 쓸수 있습니다.


문자열의 연산

1
2
3
head = "1"
tail = "2"
head + tail
cs

결과는

12

가나오게 됩니다.


1
2
head = "Python"
head * 2
cs


결과는

PythonPython

이나오게 됩니다.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aaa aaa bbb bbb c에번호를매겨보면

          1

01234567890123456

이렇게 나옵니다.

이용의예↓

1
2
3
a="aaa aaa bbb bbb c"
a[5]
a[-1]
cs

파이썬은 0부터세서 5은6번째가되어 'a'가나오게됩니다.

※그리고 다음은 'c'가나오게 됩니다. -의뜻은 뒤에서부터 읽는 것입니다.


1
2
3
="abcdeftg"
= a[0+ a[1+ a[2+ a[3]
b
cs

다들눈치채셨듯이 결과는 abcd가나옵니다.

1
2
= "aaaa bbbb cccc"
a[0:3]
cs

이렇게하시면 결과는aaa가 나오게됩니다.

a[x:y]라고 가정했을때 x부터y까지를 의미합니다.

※a[x:]나a[:y]라면 [x:]는 x부터끝까지 [:y]는 처음부터 y전까지를 의미합니다.


문자열 포매팅

 서식문자

설명

 %d

 정수(10진수)

 %o

 정수(8진수)

 %x

 정수(16진수)

 %f

 소수(10진수)

 %c

 하나의문자

 %s

 문자열

 %%

 그냥%를의미


밑과같이 표기할수있습니다.

1
"1 %s 3" %2

cs


결과는 1 2 3이됩니다.


두개의 값을 넣을때


1
2
3
num = 10
num2 = "three"
"1 2 %s 4 5 6 7 8 9 %d" %(num2, num)
cs

결과는 1 2 three 4 5 6 7 8 9 10이됩니다.


%d와%를붙여쓸때

1
"%d%%" % 98
cs

%%를 쓰시면됩니다.

그러면 결과는 98%로 제대로 나오게됩니다.


여기까지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문자열관련(1) -끝-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튜플자료형  (0) 2018.01.23
리스트자료형  (0) 2018.01.23
문자열관련(2)  (0) 2018.01.23
숫자형과연산자  (0) 2018.01.17
Python이란?  (0) 2018.01.17

숫자형

 숫자형

 사용가능한 숫자

 정수

1, 2, -1, 0, 123214등 

 실수

13.124, -1.124, 1.234e20등

 복소수

1 + 2j, -5j등

 8진수

0o14, 0o17등

 16진수

0x2B, 0xCC등


정수형 

a=123

b=-314

c=0

등이런식으로 사용합니다.

예제↓

1
2
3
a=123
b=-412
c=0
cs

위와같이 선언할수있습니다.


실수형

a=5.3

b=-10.8

등으로 사용가능합니다.

예제↓

1
2
a=5.3
b=10.8
cs

8진수

표기는 0o8진수로 표기합니다.

나아갈進셀數로 10진수는 10이되면 나아간다는뜻으로 11이됩니다.

10진수:1 2 3 4 5 6 7 8 9 10

8진수:1 2 3 4 5 6 7 10 11 12

예제↓

1
2
a=0o17
b=0o13
cs

위와같이 선언할수 있습니다.


16진수

표기는 0x16진수로 표기합니다.

10진수:1 2 3 4 5 6 7 8 9 10

16진수: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예제↓

1
2
a=0xFA
b=0xAA
cs

위와같이 선언할수 있습니다.


복소수란?

원래 수학에서는 i로 표기하며 제곱했을 때에 -1이 되는 수 입니다. (루트 -1과 같다.)

원래의 식은 1 + 3i같이 되며 1은 실수부분 3i는 허수부분이 됩니다.

그리고 허수부분의 부호가 반대가되면 그것이 켤레복소수가 됩니다.(위의 1 + 3i의 켤레복소수는 1- 3i인 것입니다.)

만약 곱셈공식 a²-b²=(a+b)(a-b)를 적용시켜보면 1 + 3i의 켤레복소수와 곱하는 것이 되고 1²-3²*(-1) = 1 - 9가됩니다.


복소수의 활용예

ⓐ : 복소수.real=복소수의 실수부분을 리턴합니다.

ⓑ : 복소수.imag=복소수의 허수부분을 반환합니다.

ⓒ : 복소수.conjugate()=복소수의 켤레복소수를 반환합니다.

※켤레복소수란? : 허수부분의 부호를 반대로 바꾼것

1
2
3
4
= 1+2j
a.real #결과는1.0
a.imag #결과는2.0
a.conjugate() #결과는1-2j
cs

기타 활용예

⒜ : abs(숫자혹은변수)=숫자혹은 변수의값의 절대값을 반환합니다.

1
2
3
4
a=3
b=-5
abs(a)#결과는3
abs(b)#결과는5
cs


사칙연산

 산술 연산자

 사용법

 의미

 +

a+b

 두수를 더한다

 -

a-b

 두수를 뺸다.

 *

a*b

 두수를 곱한다

 /

a/b

 두수를 나눈다

 %

a%b 

 두수의 나머지를 구한다.

 **

 x ** y

 x의y제곱을 나타낸다.

 //

 7 // 4

 나누는데 소수점아랫자리를 버린다.

위와같이 되어있습니다.

예제↓

1
2
3
4
5
6
7
+ #결과는 3
- #결과는 1
* #결과는 6
/ #결과는 3
#결과는 3
** #결과는 9
// #결과는 1
cs


여기까지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숫자형과연산자 -끝-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튜플자료형  (0) 2018.01.23
리스트자료형  (0) 2018.01.23
문자열관련(2)  (0) 2018.01.23
문자열관련(1)  (0) 2018.01.17
Python이란?  (0) 2018.01.17

Python이란? 

파이썬은 1990년 암스테르담의 귀도 반 로섬이개발한 인터프리터 언어입니다. 파이썬 프로그램은 공동작업과 유지보수가 매우 쉽고 편하기 때문에

이미 다른 언어로 작성된 많은 프로그램과 모듈들이 파이썬으로 다시 재구성되고 있는 상황입니다.(쉽고 편하다고 하는데 어려울것 같기도합니다.)

※인터프리터란? : 한줄씩소스를 해석에 그때마다 실행결과를 확인가능한것입니다.


파이썬의 특징

 : ​파이썬은 인간다운 언어이다.(고급언어입니다.)

1
if 4 in [1,2,3,4]: print "1, 2, 3, 4중에 4가 있습니다."
cs

만약 1, 2, 3, 4중에 4가있으면 print뒤의 큰따옴표 내용을 출력하라와같습니다.

ⓑ : 문법이 쉬워 빠르게 학습할 수 있다.

(문법이 쉽다고한다. 나만어려워 보이나..?)

ⓒ : ​무료이면서 강력하다.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머는 대부분의 모든 일들을 해낼 수가 있다고 합니다.

ⓓ : 간결하다.

※위코드는 이해하지 맙시다.

(java에 비교해보면 이게 간결해보입니다.)

Hello World출력

Python:print("Hello World")

java:System.out.println("Hello World");


파이썬으로 할수있는일

 :시스템 유틸리티제작

시스템 소프트웨어 제작을 할수있습니다.

 :GUI 프로그래밍 (Graphic User Interface)

윈도우 창처럼 화면을 보며 마우스나 키보드로 조작할수있는 프로그램 제작을 할수있습니다.

⒞ :C/C++과 결합

다른언어랑 결합하여 사용가능하다.

⒟ :웹 프로그래밍

웹브라우저로 웹서핑을할때 웹사이트 제작이 가능합니다.

⒠ :수치 연산 프로그래밍

Python의모듈은 C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수치연산을 빠르게 수행할수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파이썬에서는 피클이라는 모듈이 파일을 저장하고 불러오는 역할을 합니다.


파이썬의 한계

① :시스템과 밀접한 프로그래밍

많은 연산을하는 프로그램은 맞지않다.

② :​모바일 프로그래밍

앱을개발하는것을 현재로써는 어렵다.


여기까지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Python에 대하여 -끝-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튜플자료형  (0) 2018.01.23
리스트자료형  (0) 2018.01.23
문자열관련(2)  (0) 2018.01.23
문자열관련(1)  (0) 2018.01.17
숫자형과연산자  (0) 2018.01.17

전처리문

 전처리문

사용법 

의미 

 #include

 #include<????.h> 

 외부의 헤더파일을 읽어올때 사용하게됩니다. (stdio.h등이유명)

 #define

 #define True 1

 왼쪽을보면 True를 1로 지정한것이 됩니다. 따라서 define은 값을 지정할때 보통사용합니다.

 #if 

 #if 값

 오른쪽값이 True인지 false인지에 따라 #endif까지의 실행여부가 생깁니다.

 #endif

 #endif

 if문을 마칠때 사용합니다.

 #ifdef

 #ifdef True

 오른쪽이 #define으로 정의되면 endif까지의 실행문을 실행한다.

#ifndef

 #ifndef True

 오른쪽이 #define으로 정의되어 있으면 false 정의되어있지 않으면 T



#define

1
2
3
4
5
#include<stdio.h>
#define True 1
int main(void){
    printf("%d", True);
}
cs

 위와같이 사용할수 있습니다.


#if

1
2
3
4
5
6
7
8
#include <stdio.h>
#define True 1
int main(void) {
    #if True
    printf("%d", True);
    #endif
    return 0;
}
cs

위와같이하면 모두 실행이 됩니다.


#endif

1
2
3
4
5
6
7
8
#include <stdio.h>
#define True 1
int main(void) {
    #if True
    printf("%d", True);
    #endif
    return 0;
}
cs

위와 똑같이 if같은것들과 같이 쓰입니다.


#ifdef

1
2
3
4
5
6
7
8
#include <stdio.h>
#define True 1
int main(void) {
    #ifdef True
    printf("%d", True);
    #endif
    return 0;
}
cs

이렇게 사용할수 있습니다.


#ifndef

1
2
3
4
5
6
7
8
#include <stdio.h>
#define True 1
int main(void) {
    #ifndef True
    printf("%d", True);
    #endif
    return 0;
}
cs

위와같이하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여기까지 블로그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전처리문 -끝-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입출력  (0) 2018.01.17
Beep  (0) 2018.01.17
문자열관련 함수  (0) 2018.01.12
구조체  (0) 2018.01.12
포인터  (0) 2018.01.12

fopen함수

 모드

 의미

 r

읽기모드로 파일을 엽니다.

 w

쓰기모드로 파일을 엽니다.(파일없으면 만듬 파일있으면 지우고시작..)

 a

뒤에붙이기는용으로 파일을 엽니다.(파일없으면 만듬)

 r+

읽기모드가 크지만 쓰기로는 파일이 삭제되진않지만 그위치에서 내용을 덮어쓸수 있습니다.(파일이없으면 못읽음)

 w+

읽기와 쓰기를하는데 쓰기가커서 파일이있으면 지우고 시작하고 파일이없으면 새로 만듭니다.

 a+

읽기쓰기이어쓰기 다되는데 쓰기는 이어쓰기로됩니다.

 t

 텍스트파일을열때 붙여줘야합니다.(예:rt a+t등등)

1
2
3
4
FILE *= fopen("text.txt""wt"); //텍스트파일에는 t를붙여야함
FILE *f2 = fopen("text2.txt""rt");//파일이 없으니 안읽힘..
FILE *f3 = fopen("text3.txt""at");
FILE *f4 = fopen("text4.txt""r+t
cs

위와같이 선언할수있고

FILE은 파일을 쉽게 열기위해 만들어져있는 구조체라고 알고계시면됩니다.

파일을 닫을때

파일을 닫을때는 fclose함수를 사용해 닫아야합니다. 

만약 닫지않으면 파일의내용이 사라지거나 없어질수 있습니다.

fclose(파일이름)으로 파일을 닫을수 있습니다.


fprintf

텍스트파일에 쓸때 보통 사용된다.

사용법

fprintf(파일변수이름, "입력할것");

위와같이 사용할수 있습니다.


fscanf

띄어쓰기 단위로 문자열을 읽어옵니다.

fscanf("%?", &읽어들일변수);

위와같이 사용할수 있습니다.


fgets

줄단위로 문자열을 읽어옵니다.

fgets(넣을변수, 읽어올 바이트수, 파일이름);

위와같이써서 파일에서 읽어올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파일입출력 -끝-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처리문  (0) 2018.01.17
Beep  (0) 2018.01.17
문자열관련 함수  (0) 2018.01.12
구조체  (0) 2018.01.12
포인터  (0) 2018.01.12

Beep

오늘은 쉬어가기겸 Beep을 소개하겠습니다. 

※Beep를 쓰려면 먼저 Windows.h라는 헤더파일을 선언해야합니다. 

그리고 주파수값을 알아야합니다.

그것은 검색하시고 저는 옥타브6의값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046.502

1174.659 

1318.510 

1396.913 

1567.982 

1760.000 

1975.533

이렇게있습니다. 

Beep의 사용법

 함수

사용법 

의미 

 Beep

 Beep(주파수값, 지속시간값)

 왼쪽주파수를 오른쪽 지속시간값만큼 울립니다.


1
2
3
4
5
#include<stdio.h>
#include<Windows.h>
int main(void){
    Beep(1046.502100);
}
cs

위와같이 만들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까지 블로그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Beep -끝-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처리문  (0) 2018.01.17
파일입출력  (0) 2018.01.17
문자열관련 함수  (0) 2018.01.12
구조체  (0) 2018.01.12
포인터  (0) 2018.01.12

위치관련 속성


  • box-sizing

이속성은 박스의 너비를 정하는 데 그의 기준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content-box와 border-box속성값이 있는데 content-box속성은 패딩같은 것을 빼고 콘텐츠(내용)만을 박스의 너비로 지정합니다. 하지만 border-box는 패딩같은 것을 콘텐츠에 합쳐서 너비를 정합니다.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box_size1{
            box-sizing:content-box;
            width:200px;
            height:300px;
            display:inline-block;
            border:2px dotted red;
            margin:15px;
            padding:20px;
        }
        #box_size2{
            box-sizing:border-box;
            width:200px;
            height:300px;
            display:inline-block;
            border:2px solid blue;
            margin:15px;
            padding:20px;
        }
   </style>
    <body>
        <div id="box_size1"></div>
        <div id="box_size2"></div>
    </body>
</html>
cs

결과↓

content-box         border-box


위와같이 contect-box는 200px와 높이300px로 나오고 border-box는 너비 156+양쪽패딩(40)+양쪽border(4)=200이 되고 높이도 이와 마찬가지로 됩니다.


  • float

말그대로 어떤 요소를 다른 요소위에 떠있게 만듭니다.
right값과 left값과 none값이 있습니다.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float1{
            float:left;
            border:2px solid red;
            width:200px;
            height:300px;
            margin:15px;
            background-color:white;
        }
        #float2{
            float:right;
            border:2px dotted blue;
            width:200px;
            height:300px;
            margin:15px;
            background-color:gray;
        }
        #common{
            border:2px solid red;
            width:200px;
            height:300px;
            background-color:skyblue;
        }
   </style>
    <body>
        <div id="float1">box1</div>
        <div id="float2">box2</div>
        <div id="common">box3</div>
    </body>
</html>
cs


결과↓


  • clear

이것은 float를 해제하는 것입니다.

속성값은 left right both none이 있으며 

left는 왼쪽 right 오른쪽 both 양쪽 none은 그냥 none을 말합니다.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float1{
            float:left;
            border:2px dotted red;
            width:200px;
            height:300px;
            margin:20px;
        }
        #clear{
            clear:both;
            border:2px double black;
            width:200px;
            height:300px;
            margin:20px;
        }
   </style>
    <body>
        <div id="float1"></div>
        <div id="clear"></div>
    </body>
</html>
cs


결과 값↓


위와같이 소스코드에서는 float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clear로 인해 해제되어 있습니다.


  • position
이것은 배치방법을 정하는것입니다.  예를들어 요소를 예전요소와 흐름에 맞게 배치하거나 그럴때에 사용합니다.

종류 

설명 

relative 

저번요소에 흐름에 맞게 배치할 수 있습니다.

absolute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fixed 

브라우저 창에 위치를 맞춥니다. (예:스크롤을 내려도 같이 내려오게 할 때)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ko">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float{
            float:right;
            border:2px solid gray;
            width:200px;
            height:300px;
        }
        #position1{
            float:right;
            position:relative;
            right:50px;
            top:40px;
            border:2px double black;
            width:200px;
            height:300px;
        }
        #position2{
            position:absolute;
            top:100px;
            right:50px;
            border:2px dashed red;
            width:200px;
            height:300px;
        }
        #position3{
            position:fixed;
            top:500px;
            right:200px;
            width:200px;
            height:200px;
            border:2px dotted blue;
        }
   </style>
    <body>
        <div id="float"></div>
        <div id="position1"></div>
        <div id="position2"></div>
        <div id="position3"></div>
        <!--br여러개를 써서 브라우저 창을 내려보시면 fixed속성의 값을 볼 수 있습니다.-->
    </body>
</html>
cs


결과 값↓


  • visibility
이것은 요소를 숨기거나 숨기지 않는 것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숨겨도 위치는 남아있어 배치에 영향을 줍니다.
속성 값으로는 visible과 hidden값 등으로 visible은 기본값 hidden은 숨기기 입니다.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visibility{
            visibility:hidden;
        }
        div{
            border:2px dotted red;
            width:200px;
            height:300px;
        }
   </style>
    <body>
        <div id="visibility"></div>
    </body>
</html>
cs


결과 값으로는 글이 사라져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선택자  (2) 2018.01.26
표 관련 스타일  (0) 2018.01.23
마진과 패딩  (0) 2018.01.12
박스모델과 테두리 관련 스타일  (0) 2018.01.10
그라데이션 효과 만들기  (1) 2018.01.08

마진

저번에 봤듯이 요소와 요소사이의 거리를 뜻합니다.


margin태그

종류 

설명 

margin 

보통 편하게 사용하는 margin태그이며 값의 개수에따라 

상하좌우의 설정 값이 달라집니다. 

margin-top 

요소위의 마진을 뜻합니다. 

margin-right

요소 오른쪽의 마진을 뜻합니다. 

margin-bottom 

요소 밑의 마진을 뜻합니다.

margin-left 

요소 왼쪽의 마진을 뜻합니다. 


※margin의 값의 개수:1개이면 상하좌우 모두 하나의 값이고 값이 2개라면 위아래가 첫번째 값이고 두번째 값이 좌우입니다.

값이 세개일경우 첫번째값-위마진 두번째값-좌우마진 세번째값-밑의마진을 뜻하고 네개라면 그냥 시계방향으로 

위->오른쪽->밑->왼쪽으로 차례로 사용하게 됩니다.


margin의 auto속성

margin의 위와 아래값을 설정하고 좌우 마진값을 auto로 하는 것입니다.

ex)margin:10 auto 20 auto;

이렇게 하시면 위-10 아래-20 좌우는 브라우저 전체에서 요소값을 빼고 /2한 값이 됩니다. 

그러면 중앙으로 자동으로 정렬되게 됩니다.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margin1{
            margin-top:5px;
            margin-right:10px;
            margin-left:15px;
            margin-bottom:20px;
            border-style:solid;
            width:200px;
            height:300px;
        }
        #margin2{
            border-style:solid;
            width:200px;
            height:300px;
            margin:auto 0 auto 0;
        }
   </style>
    <body>
        <div id="margin1" style="display:inline-block"></div>
        <div id="margin1" style="display:inline-block"></div>
        <br>
        <div id="margin1" style="display:inline-block"></div>
        <div id="margin1" style="display:inline-block"></div>
        <div id="margin2"></div>
    </body>
</html>
cs

패딩

요소와 요소의 테두리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종류 

설명 

padding 

그냥 상하좌우 모든 패딩을 뜻합니다.

padding-top

위의 패딩을 뜻합니다. 

padding-right 

오른쪽의 패딩을 뜻합니다. 

padding-bottom 

밑의 패딩을 뜻합니다. 

padding-left 

왼쪽의 패딩을 뜻합니다. 

padding의 값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마진과 같습니다.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html문서</title>
    </head>
    <style>
        .padding{
            padding-top:5px;
            padding-right:10px;
            padding-left:10px;
            padding-bottom:5px;
            /*padding:5px 10px, padding 5px 10px 5px와동일*/
            width:300px;
            height:auto;
            border-style:dashed;
            color:red;
        }
   </style>
    <body>
        <div class="padding">Hello World!</div>
    </body>
</html>
cs


여기까지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 관련 스타일  (0) 2018.01.23
위치관련 속성  (0) 2018.01.16
박스모델과 테두리 관련 스타일  (0) 2018.01.10
그라데이션 효과 만들기  (1) 2018.01.08
색상과 배경 스타일  (0) 2018.01.07

+ Recent posts